본문 바로가기
공부/약리학

항콜린제제(anticholinergic agents)

by 영혼의 길 2020. 5. 13.
반응형

이름그대로 아세틸콜린의 효과를 방해하는 물질로써 아트로핀, 스코폴아민등이 있다.

 

다른말로 부교감 신경을 억제제라고도 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이듯이 무스카린성 수용체는 부교감 신경에만 있다. 그러므로 무스카린을 억제할 경우 상대적으로 교감신경의 비율이 높아져서 부교감 신경을 억제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보통 샘의 분비가 억제되고, 민무늬 근육의 긴장이 저하되며 혈압이 상승한다. 임상에서는 마취제가 기도를 자극하여 기도점액의 분비가 항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마취전에 투여된다.

 

부작용으로는 구강 및 피부건조 체온상승, 시야혼미, 동공반사 소실, 중추신경 흥분 및 진정이 있다.

 

atropine, scopolamine, glycopyrrolate

2-PAM

 

+신경계

신경계-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뉨

중추신경계 = 뇌, 척수

말초신경계 =

체성신경계(12쌍의 뇌신경, 31쌍의 척수신경, 감각신경, 운동신경)

자율신경계(교감신경계, 부교감 신경계, 장신경계)

 

*체성운동신경은 신경끝에서 아세틸콜린이 나오며 골격근이 니코틴성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교감신경은 절전뉴련이 짧고 절후 뉴런이 길며 절전뉴런은 ACH 절후뉴런은 에피네프린이 나온다.(신경에서 나올경우 NE, 근육으로 이어질 경우 E)

교감신경이 부신수질하고도 연결이 되어있는데 여기 수질에서 나오는 에피네프린은 혈액으로 들어가니까 호르몬 취급을 한다.

 

*부교감신경

-절전 뉴런이 길고 절후 뉴런이 짧다. 절후뉴런의 리셉터가 무스카린성 수용체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