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간호학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호흡성 산증, 알칼리증 대사성 산증, 알칼리증

by 영혼의 길 2021. 4. 6.
반응형

보통 허파의 O2와 CO2의 운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입니다.

 

원칙적으로는 Allen test를 먼저 적용한 다음에 하는데 실제 병원에서는 하는 경우를 한 번도 보지 못 했습니다.

 

간단하게 Allen test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손으로 가는 동맥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맥박을 잴 때 사용하는 요골동맥이 있고 척골 동맥도 있습니다.

 

둘 중 한개만 정상이어도 손에 산소가 공급됩니다. 

 

만약 한쪽만 정상인 사람에게 ABGA를 하고 지혈하기 위해 압박하는데 그렇게 되면 손은 산소를 공급받지고 괴사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양쪽이 정상인가 검사를 하는데 그게 Allen test입니다.

 

Allen test 순서

1. 대상자에게 주먹을 쥐게하고 검사자는 요골과 척골 동맥을 누른다.

 

2. 손을 피게하고 요골동맥은 압박하면서 척골 동맥의 힘을 푼다.

 

3. 손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요골동맥에서 ABGA를 채취한다.

 

 

ABGA 정상범위

 

항목 정상 호흡산증 호흡알칼리증 대사산증 대사알칼리증
PH 7.35~7.45 <7.35 >7.45 <7.35 >7.45
PaO2 80 ~ 100mg 정상 또는 감소 정상 정상 정상
PaCO2 35 ~ 45mg 증가 감소 정상 정상
HCO3- 22~26 정상 정상 감소 증가

 

사실 책에서는 이렇게 나와 있지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다른 곳에서 배울 때는 약간 다르게 배웠거든요.

 

 

위에 표에서는 호흡성일 때 중탄산이온은 수치가 변화가 없다고 되어있습니다.

 

아마도 호흡성 산증에서는 보상작용으로 신장에서 HCO3- 가지고 있어서, 호흡성 알칼리증에서는 HCO3-를 내보내서 변화가 없다고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보상작용으로 정상으로 돌아올 거였으면 이름이 붙지도 않았을 겁니다.

 

 

간단한 예로 대사성 산증이면 보상작용으로 호흡을 많이 하게 됩니다.

 

보상작용으로 산증이 해결된다면 왜 산증이라고 이름이 붙겠습니까? 보상은 어디까지나 완화하는 방법이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위의 그림의 그래프가 더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혹시 다른 의견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