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이 비대 되어 압박을 가하는 경우 기도나 식도 폐색을 완화하고, 항진된 갑상샘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변화된 외모를 교정하는 데 있다.
수술 전
7~10일전 Logol용액을 준다. -갑상샘 크기와 혈관 분포를 감소시키는 역할
요오드 중독증상을 관찰
수술후
48 동안 면밀히 관찰
합병증
기도폐쇄, 되돌이후두신경 손상, 저칼슘혈증성 테타니, 갑상샘 위기
1) 되돌이후두신경
목소리를 확인한다. 손상되었을 경우 목소리의 상실이 일어날 수 있다.
2) 저칼슘강직
칼슘의 감소로 일시적인 강직이 일어날 수 있다. 수술 후 24~48 내에 나타나거나 6~7일 이내에 나타날 수 있다.
크보스테크(Chvostek), 트루소(Trouseau) 징후가 양성인지 확인한다.
//개인적으로 고 칼륨 혈증이 일어나야 되나 생각이 들었는데 반대였다. 수술할 때 부갑상선을 안 건드리고 제거하게 힘든가 보다.
갑상선 - 칼시토닌(혈중 칼슘 농도를 낮추는 역할)
부갑상선 - 파라토르몬(혈중 칼슘농도를 높이는 역할)
갑상선을 제거하면 혈중 칼슘의 농도가 높아질 텐데 부갑상선을 건드려서 갑상선이 제거되는 효과를 넘어 이상이 생기나 보다.
3) 갑상샘 위기(Thyroid storm)
조절되지 않는 갑상샘의 과잉활동으로 일어난다.
빈맥, 수축기 고혈압, 탈수, 구역과 구토, 섬망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원인 : 치료하지 않는 갑상샘 항진증, 수술 전 부적절한 대상자 준비(Lugol용액, 요오드 중독증상)
4) 간호
쉰목소리가 나는지 확인한다 -> 되돌이 후두신경의 손상확인
저칼륨 혈증을 확인한다.
갑상샘 위기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수술부위가 호흡기과 가깝고 출혈의 가능성이 크다.
Trousseau' sign 과 chovostek's sign을 확인한다. -> 칼륨을 IV로 준다. 10% calcium gluconate
봉합선이 아문다음 ROM사정
반좌위를 취해준다.
'공부 >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 (0) | 2020.12.15 |
---|---|
여러 징후들및 검사 (0) | 2020.12.15 |
그레이브스병 원리(쉽게 이해하기) (0) | 2020.12.15 |
제왕절개 (C/S) 직접 보고나서... (0) | 2020.11.09 |
낙상위험 사정도구(morse fall scale) (0) | 2020.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