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아세포증1 신생아 용혈성 질환(적아세포증, ABO부적합) 1. 혈액 부적합증 1)Rh 부적합(적아세포증) 신생아가 Rh+ 산모가 Rh-일때 발생한다. 산모가 Rh-일때 보통 첫 번째 아기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Rh+에 노출이 되어 항원-항체의 반응으로 생기는데 첫 번째임신중에는 피가 섞이는 일이 없어서 그렇다. 첫 번째 출산 때 Rh+인 아이랑 피가 약간 섞이게 되는데 이때 IgG가 생기게 된다. 두 번째 아이를 임신하게 될 경우 IgG의 경우 크기가 작아서 태반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IgG랑 태아의 적혈구랑 결합하게되어 성숙한 적혈구들이 죽게된다. 성숙한 적혈구들이 죽어서 조혈과정이 촉진되어 어린 적혈구들이 많아지는데 즉 어린, 아(兒)세포 들이 많아진다. 이를 태아적아세포증이라고 한다. 이것도 케바케인게 Rh-인 여성이 Rh+인 태아의 혈액에.. 2020. 6. 20. 이전 1 다음